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8. 18世 〉8. <부정공>청재공휘하상가장(淸齋公諱河祥家狀)
1. 문헌 목록 〉18. 18世 〉10. <부정공>학생공휘석상가장(學生公諱奭祥家狀)
1. 문헌 목록 > 18. 18世 >  
9.<부정공>증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경연참찬관휘지상가장(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經筵參贊官諱贄祥家狀)
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經筵參贊官諱贄祥家狀 府君諱贄祥字顯仲姓趙氏系出玉川相好亭第二房井邑縣監諱智崑十一代孫也大匡輔國光祿大夫玉川府院君忠獻公諱元吉中顯大夫典農寺副正虔谷先生諱瑜左軍司正 贈吏曹參議諱斯文相好亭以上三世也忠武衛副司直諱和司憲府監察諱介臣泰仁縣監諱大承訓練院奉事諱珏相好亭以下四世也高祖諱維春曾祖諱東耘祖諱新命考諱廷直贈司僕寺正妣淑夫人淳昌薛氏世蔓女文良公恭儉後 正廟丙辰九月二十九日生府君府君膺相好先祖積蔭秀氣而德焉是體行焉是則有弟三人亦皆怡怡益恭同心同德其於父母之忠養夫妻之敬待長幼之秩序朋友之信交族戚之睦婣婢僕之撫恤隣保之相助哀慶之有問賓客之迎接日用事爲無細大必須爛商協議究其所以然行其所當然無不一裁之以正一家之內絜矩成義物我無問廣狹均齊藹祥溢於斯埍篪迭吹和於斯食無甘苦同案衣隨燠寒而傳服先亭題詠中食無甘苦兄呼弟衣有燠寒弟問兄之句實是前後一揆也寺正公享七十六歲淑夫人躋七十三歲而俱無羔府君之服勤就養如萬石君長子建以老白首益勤誠也行年五十二丁淑夫人憂雖在血氣之衰而不怠不懈於三月三日後五歲居寺正公憂哭不絶口衰不去身水飮蔬食菜果式遵禮經而無違人皆以爲難也有子四昆季其孝友質行亦得以光先裕後則以相好先蔭之積至發於府君之身不亦信乎甲戌十二月三日終壽七十九以孫春根貴 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墓本面蘆洞里前麓道理峰上局柿木嶝亥坐原配淑夫人義城金氏東源女乙卯二月十八日生庚申六月二日卒別葬本面弓角里後蟻亭嶝下局中岡子坐原育四男長永舜次永華永弘永權 贈嘉善戶參孫奉根正根出星根光山李孟鎬妻長房出學根長根義城金載翰濟州梁相弼泰仁許長源妻次房出泰根置根道根昌原朴達瑞妻三房出春根同樞五衛將鎭根世根靈光金基龍妻四房出曾孫炳奎光山金在寬全州李鍾黙妻奉根出炳箕炳東木川張基滿妻星根出炳鳳學根出炳祚炳福炳祿全州李智善咸陽吳海重妻長根出炳儀炳林全義李熙祚妻泰根出炳夏慶州鄭永極妻置根出炳龍炳麟炳鶴炳龜炳駿平山申明均妻道根出大鉉光山金晩植文化柳興碩妻春根繼子與二女炳周文化柳日永妻鎭根出大顯繼伯父庠鉉崇鉉光山金可均妻世根出嗚呼吾先相好亭之遺風餘韻蔚爲邦國之矜式而在昔七代祖皷岡公亦以四昆季勗承相好先德飭躬制行矣府君繼述之善乃至於此則爲我府君之後昆昆季季者亦將世世式穀無愧爲府君之後也歟易曰積善之家必有餘慶府君後嗣之慶如此有餘則其積之至俾有補於世敎故謹爲序次如玆以圖狀德壽傳之資焉 孝玄孫 正基 謹述 증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경연참찬관휘지상가장(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經筵參贊官諱贄祥家狀) 부군의 휘는 지상이요, 자는 현중(顯仲)이며 성은 조씨요, 본관은 옥천인데 상호정(相好亭)의 둘째 아우 정읍현감 휘 지곤(智崑)의 十一대 손이다. 대광보국 광록대부 옥천부원군 충헌공 휘 원걸(元吉) 중현대부 전농시복정 건곡선생 휘 유(瑜), 좌군사정 증이조 참의 휘 사문(斯文)은 상호정 이상 三세이다. 충무위 부사직 휘 화(和), 사헌부 감찰 휘 개신(介臣), 태인현감 휘 대승(大承), 훈련봉사 휘 각(珏)은 상호정 이하 四세이다. 고조의 휘는 유춘(維春), 증조의 휘는 동운(東耘), 조의 휘는 신명(新命)이요, 고 휘 정직(廷直)은 증사복시정이요 비는 숙부인 순창설씨(淳昌薛氏)는 세만(世蔓)의 따님으로 문량공 공검의 후예다. 정종(正宗) 병진(丙辰)년(一七九六) 九월 二十九일에 부군이 출생하였는데 상호정의 쌓은 음덕과 훌륭한 기운을 받아 덕과 행의를 준행하였다. 아우 세 사람이 다 화목하고 더욱 공순하여 마음을 한가지로 하고 덕을 같이 하였으며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고 내외가 서로 경대하며 어른과 어린이는 질서를 지키고 친구를 믿음으로 사귀며 족척간에 화목하고 남녀 노비를 어루만져 구휼하며 이웃간에 서로 돕고 애경 상조와 손님 영접 등 일상 행사를 대소없이 서로 협의하여 그 본말을 가린 연후에 당연히 할 일을 행하니 한 가정에 법도가 짜여저 네것 내것이 없었다. 그래서 상서로움이 넘치고 화기가 애애하여 흙장고 피리가 이에 화답하며 달고 쓴것 없이 한상에서 나누어 먹고 춥고 더움에 따라 의복을 나누어 입었다. 상호정(相好亭) 운(韻) 가운데, 먹을것은 쓰고 단것 없이 아우 부르고 의복 차겁고 따사로움은 아우가 형에게 묻네(食無甘苦兄呼弟衣有燠寒弟問兄)라는 구절이 있으니 실로 전후가 일치한 법도였다. 시정공(寺正公)의 춘추가 七十六세요, 숙부인의 향년이 七十三세로 함께 무양한 것은 부군이 정성을 다하여 봉양한 결과였다. 五十二세에 숙부인의 상사를 당하여 비록 쇠약한 몸이었지만 三일 동안 상례를 게을리 하지 않고 五년후에 시정공의 상을 만나서는 울음을 그치지 않고 최복을 벗지 아니하며 물과 채소만 먹으면서 예경에 따라 집상하니 보는 사람이 다 어려운 일이라 하였다. 아들 四형제는 효우독행하여 선조를 빛내고 후손을 유복하게 하였으니 상호정 선조의 음덕이 쌓인 것이 부군의 대에 이르러 발목되었다는 것을 또한 믿지 아니하겠는가. 갑술(甲戌)년 十二월 三일에 향년 七十九세로 별세하였는데 손자 춘군(春根)의 영귀로서 통정대부 좌승지겸 경연참찬관의 증직을 받았다. 묘소는 본면 노동리앞 산기슭 도리봉(道理峰) 위 시목등(柿木嶝) 해좌(亥坐) 언덕이다. 배 숙부인(淑夫人) 의성김씨(義城金氏) 동원(東源)의 따님으로 을묘(乙卯)년 二월 十八일에 출생하여 경신(庚申)년 六월 二일에 별세하니 본면 궁각촌뒤 의정등 아래 중강자좌 언덕에 별장(別葬)하였다. 남은 영순(永舜)·영화(永華)·영홍(永弘)·영권(永權)인데 영권은 가선대부 호조참의에 증직되고 자는 봉근(奉根)·정근(正根)인데 정근은 성근(星根)에게 계출하고 광산(光山) 이맹호(李孟鎬)의 처는 장방출이요, 학근(學根)·장근(長根)과 의성(義城) 김재한(金載翰)·제주(濟州) 양상필(梁相弼)·태인(泰仁) 허장원(許長源)의 처는 차방출이다. 태근(泰根)·치근(置根)·도근(道根)·창원(昌原) 박달서(朴達瑞)의 처는 삼방출이요, 동추오위장 춘근(春根)·진근(鎭根)·세근(世根)과 영광(靈光) 김기룡(金基龍)의 처는 四방출이다. 증손 병규(炳奎)와 광산(光山) 김재관(金在寬) 전주(全州) 이종묵(李鍾默)의 처는 봉근의 소생이요, 병기(炳箕)·병동(炳東)과 목천(木川) 장기만(張基滿)의 처는 성근의 소생이며 병봉(炳鳳)은 학근 소생이요 병조(炳祚)·병복(炳福)·병록(炳祿)과 전주(全州) 이지선(李智善)·함양(咸陽) 오해중(吳海重)의 처는 장근 소생이요, 병의(炳儀)·병림(炳林)과 전의(全義) 이희조(李熙祚)의 처는 태근 소생이며 병하(炳夏)와 경주(慶州) 정영극(鄭永極)의 처는 치근 소생이요, 병룡(炳龍)·병린(炳麟)·병학(炳鶴)·병구(炳龜)·병준(炳駿)과 평산(平山) 신명균(申明均)의 처는 도근 소생이요, 대현(大鉉)과 광산(光山) 김만식(金晚植), 문화(文化) 유흥석(柳興碩)이 처및 춘근의 계자와 두딸이며 병주(炳周) 문화(文化) 유일영(柳日永)의 처는 진근 소생이며, 대현은 백부에게 출계하고 상현(庠鉉)·숭현(崇鉉)과 광산(光山) 김가균(金可均)의 처는 세근의 소생이다. 아! 우리 상호 선조의 끼친 풍운이 울연히 이 나라의 자랑이 되었고 七대조 고강공(皷岡公)이 또 四형제로 힘써 상호정의 선덕을 이어 몸을 닦고 행동하였으며 부군의계술의 착함이 이에 이르렀으니 우리 부군의 후손된 자 또 장차 대대로 착한 행실을 하여 부군의 후손으로서 부끄러움이 없게 해야 할 것이다. 「주역(周易)」에 『적선한 집에 반드시 여경이 있다.』 하였는데, 부군의 후사에게 이와같은 여경이 있은즉 그 지극한 정성이 세교에 보탬이 되는고로 삼가 이와 같이 차서를 정하여 덕을 기리고 오래 전할 자료를 삼는다. 효현손(孝玄孫) 정기(正基) 삼가 씀
 
1. 문헌 목록 〉18. 18世 〉8. <부정공>청재공휘하상가장(淸齋公諱河祥家狀)
1. 문헌 목록 〉18. 18世 〉10. <부정공>학생공휘석상가장(學生公諱奭祥家狀)